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 정책사회부 서주희 기자 나와있습니다 <br><br>[질문1] 오늘부터 미복귀 전공의들에 대한 본격적인 행정처분이 시작됐어요. 전공의들 움직임은 어떤가요? <br><br>네, 앞서 보셨든 의대증원에 반발해 복귀하지 않은 전공의 7천여 명에 대한 3개월 의사면허정지 사전 통지서 발송이 시작됐습니다.<br> <br>다만, 전공의들은 정부의 행정처분 발표에도 되돌아오거나 반발하거나 하는 등 뚜렷한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<br> <br>유일한 전공의 공식 창구인 대한전공의협의회도 별도의 입장문을 내지 않았습니다. <br><br>박단 비대위원장은 오늘 SNS를 통해 뉴욕타임즈 등 외신 기자들과 인터뷰를 진행했다는 글을 올렸는데요.<br><br>박 위원장은 외신을 통해 "주 100시간을 일하고, 1시간에 20명 환자를 봐야해 몇 시간 동안 화장실도 못 갔다"며 한국 전공의들의 열악한 근무여건을 강조했습니다.<br> <br>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에 대한 국내 여론이 좋지 않자, 해외 언론을 통해 목소리를 높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<br><br>[질문2] 그럼 전공의들의 실제 생각이 뭔가요? <br><br>제가 여러 전공의들과 접촉해봤는데요. <br> <br>사전에 받아둔 법률 자문에 따르고 있는 경향입니다. <br><br>정부의 이번 업무개시명령이나 행정처분 조치 등이 위헌적이라는 입장인데요. <br> <br>정부는 사직서 제출을 집단 행동으로 보지만, 전공의들은 개별적인 판단에 따른 것이라는 항변입니다.<br><br>이와 별개로 저희 취재진과 접촉한 다수의 전공의들은 "정부의 태도가 너무 강압적"이라면서 "면허 정지를 운운하기보다는 먼저 소통을 원한다"는 의견을 밝혔습니다.<br><br>[질문3] 그렇다면 면허가 정지되더라도 상관이 없다는 건가요?<br> <br>개별적으로는 자신들의 미래와 관련된 것이어서 굉장히 예민한 상태입니다. <br><br>다만 공식적으로 입장을 내거나 반발하지 않는건 그런 행위 자체가 집단행동으로 보일까봐, 그래서 행정처분이나 처벌의 빌미가 될까봐 걱정하는 모양새입니다.<br><br>또 전공의들 사이에서 이탈자로 낙인 찍힐까봐 눈치를 보는 분위기도 있다고 합니다. <br> <br>바로 SNS를 통해 이런 분위기를 전한 건 '다른 생각을 가진 의대생/전공의 모임'인데요.<br><br>이들은 집단행동에 나서는 건 옳지 않다는 목소리를 내기 위해 SNS 계정을 개설했는데요. <br> <br>여기에는 "주류 의견과 다른 의견 내는 게 두렵다"며 "동기가 동료가 되고, 학교가 직장이 되는 이 사회 생리를 너무 잘 알기 떄문"이라는 글이 올라오기도했습니다.<br><br>[질문4] 이제 전공의 뿐 아니라 교수들, 전임의들마저 의료현장 이탈 분위기라고요? <br><br>네, 오늘 강원대 의대 학장을 포함한 교수 10여 명은 대학 본부의 의대 증원 신청에 반발해 삭발식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<br> <br>또 경북대 의대, 충북대 의대 등에서는 개인 SNS를 통해 공개 사직 의사를 밝힌 교수들도 나왔는데요.<br><br>"전공의가 다 짊어지고 있는 이런 답답한 상황에 떳떳하게 서 있을 수 없다", "정부의 면허정지 처분에 분노한다"는 목소리를 냈습니다.<br> <br>3,4년간의 전공의 과정을 거쳐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고 1,2년 더 숙련 과정을 거치는 전임의들의 이탈도 본격화 되고 있습니다. <br><br>직접 취재해보니, "업무가 과도하게 몰린 상황에서 자칫 실수라도 하면 의료 소송 등 책임은 결국 전임의 몫이 될 것"이라는 우려도 이탈의 한 이유라는 겁니다.<br><br>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서주희 기자 juicy12@ichannela.com